Poosil's Sight 2013. 9. 12. 11:55

애프터 루시아 (After Lucia)

감독 미셸 프랑코
출연 테사 라, 헤르난 멘도자
개봉 2012, 멕시코, 프랑스, 103분
펑점
 
여기 한 소녀가 등장합니다.
조금 분위기가 경직되어 있고, 카메라도 움직이지 않네요.
 
 
시작부터 느낌이 이상하다 했지요.
아버지와 딸에게 느껴지는 것은 일반적인 어색함 같은 것이 아닌것 같고
 
 
배우가 화를 내는 등의 감정을 표현하면 그에 따라 카메라가 이동해야 하는데
미동이 없어 계속 느낌이 묘합니다.
 
 
보는 내내 나의 감정이 이 소녀에게 좌지우지 됩니다.
긴장하면 같이 긴장하고, 행복해 하면 안심되고, 어색해 하면 다시 찜찜하고
 
 
그러나 이 소녀가 머리가 짧아지고 표정이 없어지면서
과연 버티는 것인가, 죽고 싶은 것인가, 저 표정의 의미가 무얼까 생각하게 됩니다.
 
어떤 생각으로 저런 상황에서 계속 학교에 가게 될까?
알기 힘들더군요.
 
 
다만, 괴롭히는 아이들의 심리는 조금 알 수 있을 것 같더군요.
한번 '어떤 아이'라고 인식된 사람에게는 거침이 없이 잔인해 지는 습성.
 
 
그런 장남감으로 인식되는 계기가 되는 이 장면의 유출은
실상 청소년들의 문제만이 아닌 사회의 문제라고 보여지더군요.
 
가령, 연예인의 무슨 비디오 유출로 인한 인식의 변화 등과 같은 것 말이죠.
 
 
마무리 역시도 깜짝 놀랄만했죠.
장면은 잔잔하지만, 보는 내내 폭력적이고 잔인하고 답답했던 영화.
 
그래서 추천합니다. 한번 보세요. 그리고 느끼세요.

감정적으로 말고, 감독이 말하는 데로 보세요.


posted by 푸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Poosil's Sight 2012. 8. 28. 11:16

공모자들

감독 김홍선
출연 임창정, 최 다니엘, 오달수, 조윤희
개봉 2012, 대한민국, 111분
펑점

이분의 악역으로의 변신은, 반 정도만 진행되었다고 말하고 싶다.
인간적인 모습이 가장 남아있는 사람으로 생각된다.


조금은 예상 했던 반전, 그러나 너무나도 놀라웠던 반전, 그리고 잔인했던 반전.


주도자는 모두의 생각보다 냉혈인간 이였고,
처음에 악인으로 생각되는 임창정의 눈물과 폭력이 인상적이였다.

잔인한 영화라 영화평을 길게 남기고 싶진 않지만,
총을 맞고도 끝까지 살아서 다시 똑같은 일을 하는 잔인함.
그것을 극적으로 그려낸 감독에게 소름이 돋는다.

posted by 푸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Poosil's Story 2012. 6. 13. 11:52

평온한 나의 가슴을 뒤 흔든 후에,

알고보니 너는 사랑하는 남자가 있다고 했지.


그러면서도 나를 좋아한다고 하는 너에게,

잔인한 미소를 보이고 싶어.


박진영 - '난 여자가 있는데'


니가 오기전까진 우린 아무 문제가 없었어
세상 누구보다도 다정한 연인이었어
어느 누구도 우리 사이를 갈라놓을 수는 없다고 믿고 있었어
(하지만 이제 너를 만난후에)
내 가슴속에 지켜온 믿음이 무너지고
(니가 없이는 난) 하루도 살수가 없을 것 같은데

난 여자가 있는데 자꾸 이러면 안되는데
너만 보면 난 자꾸 마음이 흔들려
내가 여자가 있는게 자꾸만 후회가 돼
너만 내곁에 오면 난 그렇게 돼 어떡해

전화벨이 울리면 그녀가 곁에 있는데도
너이기를 바라는 내모습을 바라보며
어떻게 내가 이렇게 너를 그리워 할수 있는지 믿을 수 없어
(하지만 내가 이래선 안된다고)
그녀를 절대 울려서는 안된다고
(다짐을 해봐도) 널 향한 마음은 커져만 가는데

난 여자가 있는데 자꾸 이러면 안되는데
너만 보면 난 자꾸 마음이 흔들려
내가 여자가 있는게 자꾸만 후회가 돼
너만 내곁에 오면 난 그렇게 돼 어떡해

가슴이 너무 아파 숨을 쉴수가 없고
앞이 보이질 않아 어디로 갈지를 몰라

난 여자가 있는데 자꾸 이러면 안되는데
너만보면 난 자꾸 마음이 흔들려
내가 여자가 있는게 자꾸만 후회가 돼
너만 내곁에 오면 난 그렇게 돼 어떡해


posted by 푸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Poosil's Story 2012. 1. 12. 14:21
마음대로 조절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만
그렇게 하지 못하면 더 가슴만 아플텐데..

아무리 서로를 사랑했고,
잔인하게 잘라져 버린 인연을 원망하고 미워해도
그리움이 사라지질 않으니 죽을 맛이다.


부활 - '사랑할수록'


한참 동안을 찾아가지 않은 저언덕 너머거리엔
오래전 그 모습 그대로 넌 서있을 것 같아

내 기억 보다는 오래되버린 얘기지 
널 보던 나의 그 모습
이제는 내가 널 피하려고 하나 언젠가의 너처럼

이제 너에게 난 아픔이란걸 너를 사랑하면 할수록
멀리 떠나가도록 스치듯 시간의 흐름속에

이제 지나간 기억이라고 떠나며 말하던 너에게
시간이 흘러 지날수록 너를 사랑하면 할수록
너에게 난 아픔이었다는 걸 너를 사랑하면 할수록
멀리 떠나가도록 스치듣 시간의 흐름속에


posted by 푸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인간의 잔인함은 어디까지 갈까요? 구제역 살처분 개선 촉구 기자회견에서 살처분되는 돼지들의 영상이 공개되었습니다.

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인사동에 있는 천도교 대교당에서 ‘구제역 살처분 개선 촉구 기자회견’이 열렸습니다. 이번 기자 회견은 천도교, 원불교, 천주교, 개신교, 불교 5개 종교 주최로 열렸으며, 이 자리에서 2011년 1월11일 경기도 이천시 대월면의 두 매립지에서 생매장 당하는 1,900마리 돼지의 매립 장면을 촬영한 3분짜리 영상물을 공개 했는데요.

영상속에서 살이 부쩍 오른 돼지들이 포클레인 바스켓에 밀려 혹은 방역 공무원의 몰이에 구덩이로 속절없이 나가 떨어졌고 돼지들은 서로의 몸 위로 겹겹이 떨어지며 비명을 질렀습니다. 한 동안 돼지들이 파묻힌 모습이 계속됐고, 돼지들은 목 놓아 “꽥, 꽥”거렸는데요.

현장에서 영상을 보던 시민들의 눈시울은 다 붉어졌는데요. 참혹한 영상에 눈을 가리고 돼지들의 절규에 귀를 막는 이도 있었습니다.

박소연 동물사랑실천협회 대표는 “구제역 살처분과 관련해 여러 메시지들이 있으나 왜 가축전염병의 근본 원인과 생명의 가치에 대한 관심은 미미하다”며 “비록 먹을거리고 존재하는 동물들이지만 인간과 똑같이 고통을 느낀다. 그러나 우리 사회는 이에 대해 둔감하다”고 밝혔다. 박 대표는 잠시 말을 잇지 못하다 “왜 구제역이 걸리는 지 이에 대한 우리의 성찰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인간의 잔인함은 어디까지 갈까요? 전염병을 막기위해 백신주사보다 살처분만이 능사라면 인간이 인간을 살처분 할 수 있을까요? 

출처 : 프리챌 왕방차 → 바로가기

posted by 푸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Poosil's Story 2008. 6. 30. 01:40
나의 가장 강한 특징은 자기 극복이다.
하지만 나는 또 그것을 무엇보다 필요로 하고 있다.
나는 항상 깊은 물속에 있다.
                                                            -니체

나는 항상 그런 식이였다.
무언가 실패를 경험하면 후회를 하고,
후회에 내 자신이 싫어지면 내 자신을 바꾸려 의지를 새우고,
내가 좋은 쪽으로 바뀌는 것에 만족하여 나를 극복하여 발전하고,
발전되면 더 높은 것을 시도하는..

그것이 느리지만 내가 진화하는 이유였다.
절박함으로 다가오는 것.
나 자신을 바꾸는 것은 만족스러웠다.
나는 살아있고, 늦더라도 나를 바꿀 수 있고,
나는 결국 바뀌었고, 단지 늦었다는 사실에 실망이 있을 뿐이였다.

그러나 그렇지 않을 때가 있었다.
바로 사람과의 관계는 그렇지 않았다.
뒤 늦은 나의 후회는 항상 같지만
늦는다면 상대는 이미 마음이 죽어있다.
아니, 후회하는 시점 이미 상대의 마음은 닫혀 있는지 모른다.

나 스스로를 원망해도 이미 늦다.
나 자신을 바꾸려 해도 이미 늦다.
나 자신이 바뀌었어도 이미 늦다.
이미 늦은 것을 알게 된 지금도 이미 늦다.

분명 불투명한 미래이고, 기회가 많을지, 마지막 기회였는지 알 수 없다.
하지만 내가 선택할 수 있는 나 자신의 의지는 하나다.
'다음 사람에게는 후회를 남기지 않도록 하자.'
지금 당장이 괴롭더라도 미련을 버려야 한다는 것을 알기에
이성적인 판단이 이미 내려졌기에
더 이상 약한 모습은 안된다.
나 스스로에게도 나의 주변에게도

내가 언제부터 이렇게 약한 인간이었나.
나는 강한 사람이였다. 나는 맺고 끈는 것이 확실한 잔인한 사람이였다.
나는 강한 사람이였다. 나는 넘어져도 웃으며 일어나고 속으로 불을 삼키던 사람이였다.
나는 강한 사람이였다. 나는 나를 위해서라면 원수도 웃으며 따르던 사람이였다.
나는 강한 사람이였다. 나는 내 사람들을 위해서 울타리를 만들던 사람이였다.
나는 강한 사람이였다. 나는 쉽게 바뀌지 않는 사람이다.
나는 강한 사람이다.
posted by 푸실

댓글을 달아 주세요